맞춤형 선진국 재활을 알아봅니다.
페이지 정보
본문
[기획연재 ①] 유럽 재활은 맞춤형!
본격적인 작업장을 갖추고 ‘집중 재활훈련’ 벌이는 독일·오스트리아·스위스의 재활병원들
<한겨레21>은 푸르메재단과 공동 기획으로 독일, 스위스, 오스트리아 등 독일어권과 일본의 재활병원과 통합학교, 장애인 작업장 등을 둘러본다. 푸르메재단은 재활병원 건립을 목표로 하는 민간기구다. 이 기획에는 장애아동을 한 학년에 2명씩 받아들이고 있는 대안학교 이우학원 관계자, 재활의학과 전문의, 건축가 등이 함께 참여했다. 첫 회 재활병원과 요양시설, 2회 장애인학교, 3회 장애인 작업장, 4회 일본 장애인 복지시설 순으로 기획 연재된다. 편집자
선진 장애인복지시설을 가다 ①
▣ 클로스터노이부르크·취리히·회엔리트·벨리콘=글 구둘래 기자
여름에 피서하러 은행 간다는 건 중국 대륙을 넘어가니 웃겨진다. 유럽의 건물에는 에어컨이 없다. 한국에 불볕더위가 온 날 독일 뮌헨도 마찬가지였다. 5월 초 25도를 오르내렸다. 어떻게 견디는 것일까. “햇빛을 차단하고 문을 열면 끝”이라고 사람들은 말한다. “그래도 지구 온난화로…”라는 뒤숭숭한 반격에는 “블라인드를 내리고 뒷문을 열면 더 시원하니까요”라고 답한다. 창 안이 아닌 창 밖에 햇빛을 열고 닫는 블라인드가 있다. 그 블라인드가 드리운 창은 보통 한 키를 넘는다. 에어컨은 쉬운 방법이다. 햇살에 맞게 빛을 들이고 막고 바람에 맞게 창과 문을 열고 닫는다. 귀찮은 방법이다. 하지만 집 안에 끌어들인 지상의 바람은 송풍, 냉풍, 환기로 ‘설정’된 에어컨 바람보다 다양하다. 그리고 웬일인지 전기가 일으키는 ‘기술’의 바람보다 자연의 바람이 더 시원하다.
독일, 오스트리아, 스위스 재활병원은 ‘설정형’이 아니라 ‘맞춤형’ 재활을 실시한다. 유럽의 재활병원에서는 무수한 상황에 대처하도록 인간을 이끄는 다양한 방법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. 물론 놀랍고 비싼 장비들도 볼 수 있다. 하지만 그것을 일궈내는 끈기가 더욱 인상적이다. 그 바탕에는 배려가 흐르고 있다. 오스트리아 클로스터노이부르크의 재활병원(Rehabilitationszentrum Weisser Hof), 부원장 마크 라이문트의 안내로 병실에 들어섰다. 병실은 오후 2시의 햇빛을 싸안듯이 90도 각도로 놓여 있다. 간호실에서 가까운 데에 더 위급한 환자가 배치되며 그에 따라 방도 1인1실, 2인1실 순으로 놓여 있다. 각 병실에서 화장실로 가는 중간에는 옆 병실과 연결되는 문이 놓여 있는데 그 문들이 일렬로 열리면 사통팔달이 된다. 돌보는 사람이 쉽게 다른 방의 기척을 알아차려 바로 들여다볼 수 있다.
목욕에 미친 것은 아닐까
병실에 따로 샤워실이 있지만 병실을 잇는 |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